- 장애인 지원 관련 알아두어야 할 단어들
1. 장애 정도 및 자격 (Degree of Disability & Eligibility)
German | English | 한국어 | 자세한 설명 |
Grad der Behinderung (GdB) | Degree of Disability | 장애 등급 | 0에서 100까지 10단위로 나뉘며, 숫자가 높을수록 장애가 심함을 의미합니다. 모든 장애 지원의 가장 기본적인 기준이 됩니다. Versorgungsamt에서 결정합니다. |
Schwerbehinderung | Severe Disability | 중증장애 | GdB 50 이상일 경우 공식적으로 '중증장애'로 인정받습니다. 이때부터 추가 휴가, 특별 해고 보호 등 강력한 법적 권리가 생깁니다. |
Schwerbehindertenausweis | Severely Disabled Person's ID Card | 중증장애인증 | GdB 50 이상일 때 발급되는 공식 신분증입니다. 박물관 할인 등 일상적인 혜택부터 법적 권리 증명까지, 가장 중요한 서류 중 하나입니다. |
Merkzeichen | Mark / Symbol | 특별 표기 | 장애인증에 추가로 기입되는 알파벳 기호입니다. 특정 종류의 장애(예: 보행, 시각)가 있음을 나타내며, 해당 표기가 있어야만 받을 수 있는 특별 지원(예: 특별 주차, 대중교통 무료 이용)이 있습니다. (예: G, aG, Bl, RF) |
Gleichstellung | Equal Status / Equivalency | 동등지위 (인정) | GdB 30 또는 40을 가진 사람이 장애로 인해 직장을 구하거나 유지하기 어려울 때, 노동청(Agentur für Arbeit)의 승인을 받아 '직업 생활에 한해' 중증장애인과 동등한 법적 보호와 지원을 받게 되는 자격입니다. |
Versorgungsamt | Pension and Benefits Office | (장애) 복지 담당청 |
GdB 등급을 처음 결정하고 장애인증을 발급해주는 관공서입니다. 베를린에서는 이 기능이 LAGeSo에 통합되어 있습니다. |
2. 주요 기관 및 담당자 (Key Institutions & Contacts)
German | English | 한국어 | 자세한 설명 |
Inklusionsamt (구: Integrationsamt) |
Inclusion Office | 포용청 (구: 통합청) |
중증장애인 및 동등지위 인정자의 '직장 유지'를 지원하는 핵심 기관입니다. 재정 지원(교통비, 보조기기), 해고 보호 승인, BEM 지원 등 막강한 권한을 가집니다. LAGeSo의 일부입니다. |
LAGeSo (Landesamt für Gesundheit und Soziales) | State Offic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| 주 건강사회복지청 | 베를린의 건강 및 사회복지 업무를 총괄하는 상위 기관으로, Versorgungsamt와 Inklusionsamt의 기능을 모두 수행합니다. |
Deutsche Rentenversicherung (DRV) | German Pension Insurance | 독일 연금보험공단 | 주된 업무는 연금이지만, 사람들이 조기 은퇴하는 것을 막기 위해 **'재활 지원(Rehabilitation)'**의 가장 큰 비용 부담 주체(Kostenträger) 역할을 합니다. |
Agentur für Arbeit | Federal Employment Agency | 연방 고용청 | 실업급여, 직업 상담 등을 담당하며, GdB 30/40을 가진 사람에게 'Gleichstellung'을 승인해주는 중요한 기관입니다. |
Integrationsfachdienst (IFD) | Integration Assistance Service | 통합 전문 서비스 | Inklusionsamt와 협력하여 장애인의 취업 및 직장 유지를 위한 실무적인 상담과 지원을 제공하는 전문 기관입니다. (BEM 지원, 직장 내 갈등 중재 등) |
EUTB (Ergänzende unabhängige Teilhabeberatung) | Supplementary Independent Participation Counseling | 보충적 독립 참여 상담 | 어떤 기관에도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, 장애인의 사회 참여에 관한 모든 영역에 대해 무료 상담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공식 상담소입니다. |
3. 주요 지원 및 절차 (Key Benefits & Procedures)
German | English | 한국어 | 자세한 설명 |
Leistungen zur Teilhabe am Arbeitsleben (LTA) |
Benefits for Participation in Working Life | 직업 생활 참여를 위한 지원 | 직업을 구하거나, 유지하거나, 발전시키기 위한 모든 종류의 지원을 총칭하는 법적 용어입니다. 재활, 보조기기, 교통비 지원 등이 모두 여기에 포함됩니다. |
Kraftfahrzeughilfe | Motor Vehicle Assistance | 차량 관련 지원 | LTA의 한 종류로, 출퇴근을 위한 자동차 구매/개조 비용 또는 대체 교통수단(택시 등)의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|
Betriebliches Eingliederungsmanagement (BEM) |
Company Integration Management | 직장 복귀 관리 프로그램 | 직원이 1년에 6주 이상 아팠을 경우, 회사가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상담 절차입니다. 직원이 건강하게 계속 일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 |
Rehabilitationsträger (Reha-Träger) | Rehabilitation Provider / Sponsor | 재활 지원 주체 | LTA와 같은 재활 지원 비용을 최종적으로 부담하는 기관을 말합니다. (예: 연금보험공단, 고용청, 상해보험조합, 통합청 등) |
Eingliederungshilfe | Integration Assistance | 사회통합 지원 | (LTA와 혼동 주의!) 직업 생활이 아닌, 일반적인 '사회적 참여'를 돕기 위한 지원입니다. 주로 소득/자산 조사를 동반하는 사회 부조(Sozialhilfe)의 성격을 가집니다. |
반응형
'독일 > 외노자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독일 이주 희망자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(0) | 2025.06.27 |
---|---|
자격증이 도대체 뭘 대변하는걸까 (3) | 2025.06.24 |
일하기 싫어병은 어떻게 해쳐나갈 수 있는가 (1) | 2023.11.26 |
독일회사에서 모성보호실 만들려다가 실패한 썰 (2) | 2023.06.30 |
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회사생활 (0) | 2022.07.28 |